얼마 전 가장 유명한 전래동화인 금도끼 은도끼 이야기가 우리나라 것이 아니라는 증거가 인터넷에 회자된 일이 있다. 사실 정확히 이야기 하자면 그 이야기가 우리나라에만 있던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바로 이솝우화에서 묘사된 ‘산신령’ 캐릭터가 그리스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헤르메스였다는 것이 알려졌다. 하지만 집단 무의식원형의 개념을 익힌 우리 이론학교 출신 융 학도들에겐 그다지 놀라운 일이 아니다. 보편적인 원형 상들이 문화와 지역에 상관없이 다양한 형태로 설화나 민담 속에 표현되는 것은 매우 당연한 것임이 이미 증명되었기 때문이다. 다시 복귀하는 의미에서 다음의 세 가지 이야기들의 공통점을 찾아보자.


 옛날 옛적에 안동의 하회마을에 사는 허도령은 어느 날 꿈에 산신령이 나타나 그에게 말하길, “너는 산속으로 들어가 집을 지어 그 누구도 보는 사람 없이 탈을 만들어라. 절대 그 누구도 만나지 말 것이며, 어느 누구도 너를 보아서는 안 될 것이다.” 허도령은 그 말씀대로 산속으로 들어가 탈을 깎기 시작한다. 하지만 그 마을에 허도령을 흠모하던 처녀가 그를 보고 싶은 마음에 산속으로 들어가 그가 탈을 깎는 모습을 훔쳐본다. 열심히 탈을 깎던 허도령은 그 처녀를 발견하고는 탈을 마저 완성하지 못한 채 그 자리에서 피를 토하고 죽어버린다. 그때 허도령이 만들고 있던 탈은 ‘이매탈’이었다. 그래서 이매탈에는 턱이 없다.

                         턱이 없어 탈을 쓴 사람의 입모양과 표정이 더 살아나는 이매탈
                                              별칭은 바보탈, 병신탈


 사나운 맹수도 눈물을 흘릴 만큼 아름다운 노래를 하는 오르페우스는 그의 아내 에우리디케가 죽자 깊은 슬픔에 빠진다. 그는 험난한 길을 뚫고 저승으로 내려가 저승의 왕 하데스에게 아내들 살려달라고 애원한다. 그의 아름다운 노래에 감명 받은 하데스는 둘을 지상을 돌려보내주겠다고 약속한다. 단, 저승을 완전히 벗어 날 때 까지 오르페우스에게 절대 뒤를 돌아보지 말 것, 그리고 에우리디케는 절대 말을 해서는 안 된다는 조건을 건다. 저승을 거의 벗어날 때 쯤 뒤를 돌아본 오르페우스의 아내는 결국 다시 저승으로 떨어지고 만다. 끝내 아내를 못 잊는 오르페우스는 아마조네스의 여인들의 거듭된 청혼을 물리치다 원한을 사 그녀들에 의해 죽음을 당한다.

                                     가장 로맨틱한 비극의 주인공 오르페우스


 에덴동산에 살던 최초의 인간인 아담과 이브는 신의 명령을 거기고 선악과를 따먹은 이브의 죄로 에덴동산에서 쫓겨나 남자는 평생 부양을 위한 거친 노동을, 여자는 출산의 고통을 겪는 벌에 쳐해 진다.


위의 유명한 세 이야기의 공통적인 모티프는 첫째로 금기, 둘째로 금기를 깨는, 또는 금기를 깨도록 유혹하는 여성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로인해 파멸하는 남성이다. 사실 첫 번째 이야기는 내가 2주 전 하회마을을 방문했을 때 그 안에 있던 탈 박물관에서 본 하회탈 설화이다. 이 설화를 읽으면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동서고금을 불문하고 전해지는 이야기에 매우 유사한 패턴의 주제들이 있다는 사실이 세삼 다르게 느껴졌다. 이야기들 속의 모티프에 표현된 원형 상들과 그 작용들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페르조나는 개인이 외부와의 관계를 형성할 때 일종의 가면과 같은 역할을 하는 원형이다. 예를 들어 소방관이라는 페르조나를 가진 개인은 집단 안에서 화재진압과 인명구조라는 직무를 갖는 남과 구분되는 존재로 자신을 인식한다. 반면 아니마 또는 아니무스는 개인의 생물학적 성별과 반대되는 성의 특징을 지니며, 자신의 내면과의 관계 형성에 작용하는 원형이다. 무의식에 있는 이 두 원형들은 서로 대극을 이루며 보상적인 작용을 한다. 이를 융은 “무의식이, 페르조나가 자아를 끌어당기는 힘과 같은 힘으로 자아를 내리누르는 듯하다.”라고 표현한다. 퇴직한 중년의 남성들이 이전과는 다르게 여성스러워지는 것도 직업적 페르조나가 상실되자 자신의 여성성인 아니마가 그 자리를 대신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앞선 신화와 민담 속의 남성이 자신의 임무에 매진하는 것은 페르조나의 인력에 해당한다. 그가 신 또는 신에 해당하는 존재로부터 부여받은 자신의 역할과 임무에 충실해야하고 다른 것에 휘둘리지 말아야한다는 것은 바로 금기에 해당한다. 그 인력의 의무감은 곧 금기로써 강화된다. 고립되어 탈을 만드는 총각, 아버지 신의 명령에 복종해야하는 아담, 저승을 탈출해야하는 오르페우스는 신성하고 비장한 의무감, 동시에 금기로부터 비롯된 공포에 사로 잡혀있다.


하지만 페르조나의 강력한 힘에 대한 남성의 무기력함은 곧바로 아니마의 유혹에 취약함으로 이어진다. 그것은 대극의 반작용, 페르조나에 대한 보상으로서 나타난 아니마의 유혹인 것이다. 무의식으로부터의 유혹은 바로 이렇게 아니마라는 원형 상 즉, 여성 캐릭터로 나타난다. 이런 민담속의 여성들은 이런 비장함과 공포에 쌓여있는 남성들을 그들의 의도와 반대로 향하도록 꼬드긴다. 외부와의 관계에 과도하게 몰입되어 있을수록 한순간에 파멸할 가능성은 커진다. 이러한 사실을 인류는 수많은 경험을 통해 인식했고, 그 위험성을 민담이나 신화로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남성을 파멸로 이끄는 내부의 유혹을 아니마의 화신인 여성들, 즉 팜므 파탈 Famme Fatale 로 이야기 속에 형상화 되었다. 남성의 임무를 방해하고 죽음으로 이끄는 아니마 상들은 사이렌, 스핑크스, 물귀신(처녀귀신) 등 수없이 많은 사례들이 있다. 이 파멸의 과정은 한편으로는 편향된 의식의 위험에 대한 경고로 이해할 수 있다.


                                         치명적인 힘의 팜므 파탈도 있다 

 한편, 아니마가 파멸을 일으키는 아름다운 팜므 파탈의 인물로 묘사된 이야기뿐만 아니라, 남성에게 지혜와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다. 김만중의 소설 구운몽에 등장하는 팔선녀가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구운몽이 개인이 100% 창작한 소설이라고는 생각하진 않는다. 예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민담과 종교적 신화의 모티프들을 이용해 작가가 새롭게 재구성한 것이라고 보는 것이 더욱 합당할 것이다. 알려진 대로 성서, 각국의 건국 신화도 모두 이와 같은 맥락의 소산물이다. 구운몽의 주인공인 양소유에게 도움을 주는 팔선녀는 아니마의 긍정적인 역할을 표현한 예이다. 마리루이제 폰 프란츠가 말한 아니마의 가장 높은 단계인 여신 아테나 역시 성스럽고 지순한 것까지 초월한 지혜를 상징한다.(C.G.Jung 외, 인간과 상징) 인간의 내면에 존재하는 아니마는 인식과 발달의 정도에 따라 남성의 구원이 될 수 도, 파멸의 근원이 될 수도 있다.


아니마 또는 아니무스 이론은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는 선뜻 자신에게 적용시키기 꺼려지는 것도 사실이다. 그 이유는 지금까지 소위 ‘성역할’에 충실하며 살았기 때문에 내면에 존재하는 이성(異性)의 성향을 억압하거나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성역할 역시 일종의 페르조나다. 과도한 마초이즘과 가부장적 성향은 페르조나에 고착된 자아 Ich/Ego를 떼어내기 힘들 뿐만 아니라, 그 가면이 사라지고 나면 더없이 나약한 한 인간이 되 버리고 만다. 다만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자율적인 내면의 여성성, 남성성을 자신의 인격의 일부로 인정하는 것과, 우리가 외부에 편향되었을 때 내면의 보상작용에 관심을 두는 것이다. 슬플 때 눈물을 참는 것이 남자다움이라는, 약한 척 하는 것이 여성스러움이라는 착각에서 벗어나는 것부터 해보자. 그리고 자신의 이성성을 현빈이나 하의실종 아이돌과 같은 외부의 대상에서 찾는 것은 이성을 이해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되질 않는다.
괴테도 남자들에게 말했다.

Das Ewig-Weibliche zieht uns hinan. 영원한 여성스러움이 우리를 구원한다.




'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나가 버리기 전에 담은 늦가을 풍경  (0) 2011.11.27
가장 아름다운 하천, '내성천'으로  (0) 2011.08.16
금주의 융 세미나  (0) 2011.07.27
다녀온 곳  (0) 2011.07.21
오늘의 융 세미나 @수유+너머  (0) 2011.07.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