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모임을 갔다.
책에 대해 말한다는 건 생각보다 간단한 것이 아니다.
내가 소개하는 책의 종류나 독서량은 내 지성의 척도라 이걸 남에게 드러내는 게 여간 신경 쓰이는 일이 아니다.
약속 시간에 늦은 나는 부랴부랴 예전에 어디선가 말한 적이 있는 칼 융의 자서전 "기억, 꿈, 사상"을 집어 들고 서둘러 집을 나섰다.
이 책은 사람들에게 적당히 안 알려져 있고 남들이 다 관심을 가지지만 막상 잘 알기 어려운 분석 심리학에 관한 책이라 허세를 부릴 때 안성마춤이다.
이 책을 소개한 게 이번이 처음도 아니고 몇 번 잘 먹혀 들어간 적이 있어서 이번에도 또 우려먹는다.
내 앞에 5명이 이런 저런 책들을 소개했다.
그리고 네번째 사람의 첫 마디가 나의 등판을 짝 치는 듯한 기분이 들었다.
"제가 책을 아주 많이 읽어요. 특히 바쁠 수록 책을 더 많이 읽는데 요즘 정말 바빠서 특히 책을 많이 읽었어요."
놀랍다.
나는 저런 자신감도 없고 실제로 책을 많이 읽지도 않기에 내 차례가 오기도 전에 약간 주눅을 들뻔했다.
그 사람 앞에는 외국 작가의 에세이 아니면 요즘 핫한 인문학 책쯤으로 보이는 책 한 권 있었다. 세련된 제목 때문에 내용이 궁금했다.
하지만 그 사람은 이 책을 그냥 요즘 읽기 시작한 책이라고 만 소개하고 더 이상 언급을 하지 않았다.
조금 의아했지만 '맞군. 여긴 내가 이런 이런 책을 읽는 사람이란 걸 드러내는 자리였지.'라고 생각하자 더 이상 궁금하지도 않았다.
그리고 이어서 자기가 제일 좋아하는 책으로 '어린 왕자'를 꼽았다.
그런데 또 다시 어린 왕자 이야기를 시작하기 전에 이걸 읽지 않은 사람이 어떻게 있을 수 있느냐는 말로 다시 한번 나를 주눅 들게 했다.
몇 해 전 어린왕자 애니매이션을 본 게 전부인 나는 조용히 입을 다물고 있었다.
어린왕자라...물론 두말할 것 없이 훌륭한 책이다.
아이들보다는 어른들을 위한 이 슬픈 동화로 누가 좋아하지 않을 수 있을까?
그 이후의 토론에서 난 내가 혹시나 비꼬는 말투가 세어 나오지 않을까 계속 단속해야만 했다.
나도 정말 꼬인 인간이다.
'섬 사람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년 7월의 구름들 (0) | 2017.08.05 |
---|---|
휴일에 한 일 (0) | 2017.07.10 |
여성은 어디서나 약자다 (0) | 2017.06.29 |
한국 남자를 만나다 (2) | 2017.05.28 |
베네치아의 맛, 인간의 민낯 (3) | 2017.03.06 |